'서양 정토변'은
둔황 벽화 중 가장 많은 수의 경변이다. 정토변은 아미타불의 '공덕장엄'을 표현하는데 아미타불이 서양에 있기 때문에 서양정토변이라고 통칭한다. 서양
정토도 극락세계라고 하는데 아미타불은 바로 거기에 있고 아미타불에 대한 신앙은 중국 서민들의 아름다운 미래에 대한 동경을 반영한다. 백거이는 일찍이 발원문을 지었다. " 우리 본사 석가는 말했듯이, 서양에서
말하여 십조 불토를 넘겼는데, 세계호 극락이 있어 팔고사악의 도가 있다. 그 국호는 정토로 삼독오탁이 없었다.
그 부처의 호는 아미타인데, 수명이 무량하니 무량하기를 바라며, 공덕상호 광명무량하도다.” 초기 정토변은 단폭에 불과했던 '무량수불 설법도'가 당나라 때는 광대하고 화려했던 대폭적인 정토변이 있었다. 정토변은
근거의 경전에 따라 아미타경변, 무량수경변, 관무량수경변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아미타경의 특수성은 석가모니 "묻지
않고 스스로 깨달음을 구하다"인데, 경문 내용의
일부는 극락세계를 말하는 "국토장엄" "불장엄" "보살장엄"이다.
또 다른 부분은 '육방호념'이라고
하는 것으로, 즉 육방제불들이 아미타불을 찬탄하러 와서 그 설이 진실임을 증명하였다. 성당시대의 아미타경변을 우리는 막고굴 제225굴에서 볼
수 있다. 남벽의 한가운데에는 아미타불 설법도, 관음보살, 대세지보살 합장대좌, 주위를 감싼 청법 보살로 법상이 장엄하고 정숙하다. 하늘에는 채운이 가득하고, 공후와 거문고, 팬파이프, 비파, 닭루북
등 북과 북을 함께 울리고, 두루미, 공작, 앵무새가 날개를 펴고 있다.
또한 막고굴 제329굴 남벽에도 아미타경변이 그려져 있다. 이 벽화는 당정관 연간에 건립된 것으로 푸른 물이 둘러싸고 있고 푸른 물결이 출렁이는 수역, 그리고 이진 구조를 나타내는 수상 건축물이 가장 두드러진다. 첫
진은 세 개의 평단이 병렬로, 주존 및 협박 보살은 공양보살이 가운데,
좌우 두 개의 평단은 관음보살, 대세는 보살과 제보살, 세
개의 평단 사이에 다리가 연결되어 있다.
2진에도 세 개의 평단이 있는데, 가운데 평단 위에 우뚝 솟은 대전, 두 개의 누각과 '칠중행수'가 풍보수, 법음이
울려 퍼지는 불국세계를 만들었다. 막고굴 제220굴은 전무후무한 벽화 걸작으로 남벽의 통벽대화
무량수경변은 둔황 무량수경변의 대표작으로 극락세계를 지향한다. 무량수경은 정토군경의 으뜸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정토종의 근본불전이다.
무량수경은 왕이 나라를 버리고 왕을 내어 중이 되고 법호인 법장이 되는
것을 뜻하는데, 그는 사십팔 개의 대망을 보냈으며, 뜻을
이루지 못하여 부처가 되지 못하였다. 제 220굴의 무량수경변은
안락국의 여러 장엄함을 그리고, 날아다니는 악기는 십방세계를 대표하는 묘음, 종려, 금슬, 악기의
제반을 그린 것으로 불요불굴은 모두 자음이다. 극락세계의 정사, 궁궐, 누우, 수목, 연못의
물이 칠보, 즉 금, 은,
유리, 산호, 호박, 마노로 자연화되었다.
가장 중요한 아미타불이 설법하는 장면에서 모든
천인은 푸른 물결이 출렁이는 상징인 팔공덕수의 칠보탕에 몸을 담는다. 무량수불거중 좌우 두 협박시보살은
연대에 앉아 있고 주변에는 33명의 보살도 있다. 극락세계의
팔공덕수는 사람의 기분에 순응할 수 있고, 자연스레 차갑고 따뜻함을 조화시킬 수 있으며, 백미음식이 자연히 가득 차게 되어 모든 욕망이 절로 다 마음에 든다. 특히
칠보연못의 아홉 송이의 봉오리를 머금은 연꽃은 안에 있는 화생동자를 볼 수 있을 정도로 발랄하고 사랑스럽다. 제321굴 북벽에도 통벽인 무량수경변이 그려져 있는데, 열몸에 하늘을 날고, 서른다섯 벌의 리본을 단 악기로, 꽃을 피우고 하늘을 날리고, 꽃비를 뿌리고 만종한다. 둔황 막고굴 속의 서방 정토가 '관상'의 수가 무한하다.
경변으로,
이 중 수도 많은 것들 중에 12、44、45、66、103、112、148、159、171、172、197、217、237、320이 대표작이다. 관무량수경변은 관무량수경의 내용, 즉 미생원과 16관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둔황
막고굴의 관무량수경변은 수에서 시작돼 송으로 끝나며, 수대에는 393굴에
불과하다.
초당
제431굴의 관무량수경변은 횡권화법을 적용한 벽화로 구성이 완전하고 경문에 충실하다. 이 벽화는 제1중은 왕사성의 기세가 웅장한 성벽으로 전체 벽의 아랫부분을
차지하고, 제2중은 왕이 구금되어 있는 '구중실'로, 한 사람만이
몸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는 왕이 왕후에게 보여 준 십방 불국에서 영현한 열 개의 대전이다.
이 밖에도 393굴에는 '구품왕생'이라는 아홉 개의 병풍 그림과 함께 일불 보살이 왕후 및 다섯 명의 시녀 설법도가 그려져 있다. 제217굴은 초당성당지교의 대표적인 동굴로, 이 동굴의 '관무량수경변'에
그려진 정토장엄상은 휘황찬란하고 기상이 만천하여 하늘을 찌른다.
북벽 왼쪽은 밑줄을 이어 열여섯 관을 그린다. 오른쪽의 16관은 16개의 광경을 현수막식 구조로 나타내며, 각각의 관은 산수를 자연으로 경계를 긋는다. 66굴은 면적은 크지
않지만, 버시와 1908년에 찍은 사진에서 보여지며, 마츠모토는 이 사진들을 근거로 연구를 하기도 했다.
이 굴의 서쪽은 16관, 동쪽은 미생원, 정토
장엄상중 삼존의 묘사는 경문과 일치하며, 특히 세 명의 주존 주변 인물화는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 제171굴 동·남·북 모두 '관무량수경변'이 그려진 전형적인 정토굴로, 바둑양식의 '관경변'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가운데는
정토장엄상, 아래에는 아홉 개의 작은 병풍이 있는데, 구품왕생이
그려져 있고, 한편으로 삼십이격으로 서열을 나누면서 18칸으로
16관을 그리니 다른 굴보다 스토리가 더 풍부하다.
필자가 보기에, 경변화는 사실 불교 사상의 전파와 보급의
중요한 형식이며, 불교 각 종파가 각자의 불교 사상과 교리를 선양하기 위해 채택했던 예술적인 방법으로서, 역사상 각 시기의 다양한 불교 사상을 반영하여 불교 종파의 교리는 대부분 경이 될 수 있다.
현지 불교문화는 막고굴이 폐기되면서 쇠퇴했지만 불교사상과 관련된 불교 예술은 뿌리를 내리고, 번성하고, 발전하고, 전파되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거의 모든 경변화들이 하나의 큰 과제이며 연구자의 해독과 해석을 기다리고 있다. 때로는
한 동굴 안에 미륵정토변도 있고 서양정토변, 약사정토변, 법화경변도
있고 심지어 10여 점의 경변도 있어 연구하기가 더 복잡하기도 하다.
경변화 예술의 형식적인 변화는 불교 예술 자체와 관련이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중국 불교
사상과 불교 종파의 발전된 역사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둔황석굴 정토변의 전승과 변화는 중국 정토종의
싹에서 최종 형성까지의 역사를 반영하고 있으며, 당나라와 그 이후 서양 정토신앙이 중국 민간에 번성하고
전파된 역사를 반영한다. 둔황석굴의 영건 역사는 중국 불교발전 역사상 가장 눈부신 시기였다.
석굴예술은 본질적으로 불교를 주제로 한 예술로 건축부터 굴 안 벽화와 소상까지 구체적인 불교의리, 불교사상의
재체와 반영으로 불교의 교리를 고양하고 불교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석굴암
연구를 하는 것은 둔황 불교의 주제내용에 대한 연구의 강도와 깊이를 더욱 높여야 한다.
|